단어를 아는 것 = '지식' (심리학편)
심리학 용어 중 정서와 주로 관련된 것들을 적어보았습니다.
심리학의 경우 그 용어에 통계적 결과, 실험적 결과가 녹아있어, 용어를 아는 것 만으로도 많은 공부가 됩니다.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단순 접촉의 효과 (Effect of simple contrast)
자주 보면 정이 드는 것처럼 단지 자주 접촉하는 것만으로도 사람들이 호감을 느끼는 것.
기대- 가치 이론 (Expectancy- Value Theory)
'제 눈에 안경' 혹은 '끼리끼리 논다'는 유유상종이란 말처럼 자기와 함께 할 상대자를 선택할 때, 그 상대방의 매력 정도뿐만이 아니라 그 상대와의 성사 가능성이란 기대 정도도 고려해서 결정한다는 것.욕구-상보성 가설 (Need Colplementarity Hypotheses)
기대-가치이론과는 반대로 지배욕구가 강한 사람은 순종적인 사람을 좋아하는 것처럼 서로 상반되는 성향의 사람들이 자신들의 욕구를 보상받을 수 있는 상대와 친해지려고 하는 것.(5가지 성격유형으로 상대의 성향을 알아내서 위의 이론을 적용하면 좋을 듯.)
기대-가치 이론과 욕구-상보성 가설과 같은 상반되는 심리 작용이 있는 이유는 편안함과 우월감 또는 자존감과 관련 있다.
스톡홀름 (Stockholm) 신드롬
스톡홀름의 은행 강도에게 인질로 잡힌 여자가 그 강도와 사랑에 빠진 것처럼 왕창 겁을 준 다음에 주는 호의가 더 효과적이라는 것.〈시크하게(또는 그냥 무관심하게) 가다가 매너를 보여주면 호감을 얻기 더 쉽다.
초두 효과 (Primacy effect)
만남에서 첫인상이 중요한 것처럼 먼저 제시된 정보가 나중에 들어온 정보보다 전반적인 인상 형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
맥락 효과 (Context Effect)
성실한 사람이 머리가 좋으면 머리 좋은 게 지혜로운 것으로 해석되고 이기적인 사람이 머리가 좋으면 교활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 또는 예쁜 여자가 공부도 잘하면 기특한 거고, 못생긴 여자가 공부를 잘하면 독한 년이라고 처음에 제시된 정보가 나중에 들어오는 정보들의 처리 지침을 만들고 전반적인 맥락을 제공하는 것.( ‘snoop’에서도 같은 내용이 있었다, 먼저 좋은 점을 소개하고 뒤에 나쁜 점을 소개하면 나쁜 점이 보완됨. 반대되는 경우는 반대로 나타남)
현저성 효과 (Vividness Effect)
이빨에 고춧가루가 낀 여자는 아무리 예쁘게 생겨도 매력 없는 것처럼 두드러진 특징이 인상형성에 큰 몫을 차지하는 것.(반대로 두드러진 좋은 점 하나를 기르는 것도 좋다는 말과 같음.)
수면자 효과(Sleeper Effect)
큰 잘못을 해도 시간이 지나면 용서 받을 수 있듯이 초기에 제시된 정보도 잠자고 나면 점차 망각되는 것.
(하루에 끝내면 효율성이 좋음)
허구적 일치성 효과 (False consensus Effect)
바람기 있는 남자는 자기 친구가 업무상 여자를 만나면 바람을 피운다고 추측하기 쉽듯이 객관적인 절차 없이 남들도 자기와 같을 것이라고 짐작하는 것.
( 말할 때 조심해야 한다. 남을 평가할 때 나쁘게 평가하는 것이 곧 자신도 그렇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단순 보상의 효과 (simple Reward effect)
사람들이 유명세에 약하듯이 부담스러운 것보다는 보상을 추구하는 성향이 있기 때문에 일단은 강한 자 편에 서고 싶어하는 것.
(강한자는 꼭 힘센 녀석이 아니다.)
머리부터 들여놓기 기법 (face-in-the-door Technique)
어린애들이 엄마에게 우선 비싼 것을 사달라고 떼쓰다가 그것이 안되면 그것보다 좀 싼 것을 사달라고 하는 식으로 무리한 부탁을 먼저 해서 나중에 제시한 작은 요구를 들어주게 하는 방법.
조건반사 (conditioning)
"파블로브의 개'처럼 과거에 경험했던 어떤 자극이 제시되면 그 자극상황에서 나타났던 반응들이 일어나는 것.
터널시야 (Tunnel Vision) 현상
열 받으면 눈에 뵈는 게 없는 것처럼 생리적인 흥분이 증가되어 주의력과 정보처리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
(때문에, 평소 오버하면 안 된다.)
정서의 말초설 (Peripheral Theory of Emotion)
아이들이 싸우다 코피가 나면 눈물을 흘리며 우는 것처럼 신체의 말초반응들이 감정을 유도하는 것.
Transfer of Affect (감정전이)
어떤 대상에 대한 감정이 그와 관련된 다른 것에까지 옮겨가는 현상. (며느리가 싫으면 며느리의 발뒤꿈치까지 싫어짐.)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득 3요소
가) Ethos : 명성, 신뢰감, 호감 등 메시지를 전달하는 사람에 대한 인격적인 측면으로, 설득과정에 60% 정도 영향을 미침
나) Pathos : 공감, 경청 등으로 친밀감을 형성하거나 유머, 공포나 연민 등 감정을 자극해 마음을 움직이는 감정적 측면으로, 설득에 30% 정도 영향을 미침
다) Logos : 논리적인 근거나 실증적인 자료 등으로 상대방의 결정을 정당화 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논리적 측면으로, 설득에 10% 정도 영향을 미침
Proximity (근접성의 효과)
가까이 있을수록 서로 친해지는 것 (오랫동안 살던 집이나, 자주 봐왔던 길 등에 애착을 갖거나, 편안함을 느낌.)
Emotional Contagion (정서적 전염)
어떤 사람의 감정 상태가 다른 사람들에게 전파되는 현상 (웃음은 전염병과 같다)= 감정동화
Facial Feedback Theory (안면 피드백 이론)
표정을 바꾸면 감정 상태가 달라진다는 심리학 이론 (일부러라도 웃는 표정을 지으면, 정말로 웃을 때와 비슷한 신경화학반응이 일어남)
Body Language
심리학자 앨버트 메러비언은 전체 의사소통의 7%만이 대화의 내용을 통해 이뤄지고(개념), 38%는 음조나 억양 등 말투를 통해(청각), 55%는 표정, 몸짓, 자세 등 시각적 요소로 전달된다고 함(시각). (커뮤니케이션의 93%는 말의 내용이 아니라 비언어적인 형태, 즉 바디 랭귀지를 통해 전달됨)
Self-monitoring (자기감찰)
다른 사람들의 감정 상태와 다른 사람에게 자신이 어떤 모습으로 비치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상대나 상황에 맞게 자신의 행동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함 (심리학자 스나이더) (우리말로 '눈치') (우리가 거울 속의 자신을 보고 그 표상의 이미지와 느낌을 따라가려고 하는 본능과도 관계되어 있다고 생각됨.)
Pratfall Effect (실수효과)
허점이나 실수가 대인 매력을 증진시킨다는 이론(애론슨 박사)
Emotional Ventilation Effect (정서적 환기효과)
불쾌한 감정을 누군가에게 털어놓게 되면 속이 후련해지는 것 (뒷담화의 효과: ①스트레스 해소 ②누군가와 친해지려 할 때 ③동류의식 확인 ④일시적인 자긍심)
Principle of Association (연상의 원리)
우리는 유쾌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이건 그것과 연결된 것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유발한다는 원리/ 마케팅 전략의 기본 and 컴포트 형성에도 좋음.
Critical Distance (임계거리)
동물학계에서 말하는 동물들이 조련사의 말을 가장 잘 따르면서도 공격행동을 하지 않는 거리 (아무리 친한 사이어도 적당한 거리를 유지해야 함, 훌륭한 리더는 적당한 거리를 유지한다. 여기서는 물리적 거리뿐 만 아니라 심리적 거리도 통용해서 해석해야 됨.)/( 상대에 대해 적당히 알아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