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y in mind

캠퍼스 특허 유니버시아드 'CPU' 본문

카테고리 없음

캠퍼스 특허 유니버시아드 'CPU'

storyming 2020. 5. 11. 10:27

 

올해도 2020 캠퍼스 특허 유니버시아드가 개최됩니다.

많은 이공계 학생이 참가하는 대회로, 이 대회는 기술에 대한 이해와 특허법에 대한 약간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참가 팀들은 학교에서 변리사를 초빙하여 같이 준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법에 대해서 아주 자세한 지식이 있어야 참가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하지만 변리사가 도와주지 않는 분들도 있으 실 수 있는데, 그런 분들을 위해서 이 포스팅을 적을까 합니다.

 

이 포스팅은 시리즈로 하나씩 올릴 예정입니다. 대회 자체가 신청후 8월 쯤 과제를 제출하고 11월 쯤 ppt 심사를 하기에 그에 맞춰 대회 일정보다 조금씩 빨리 포스팅을 올리겠습니다.

1. 지원방법 및 주제 선정

2.세부 주제 선정

+ 목차 구성 (중요)

3.키워드 분석

4.특허 검색 사이트용 검색 방법

5.논문 검색 및 기술 이해

6.특허 선별법

7.특허법(청구항 분석과 대회관련 특허법)

7.핵심 특허 선별법

8. 특허 전략

+100~110p 분량 보고서 작성법 (자간 설정 등 팁)

*이후 수정될 수 있습니다.

|

먼저 오늘은 간단하게 지원 방법 및 주제 선정에 대해서 간략하게 이야기를 할께요.

 

보통은 학교에서 지원을 해주고, 변리가분께서 도와주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변리사가 도와주더라도,내 과제가 변리사의 전문 분야가 아니면 과제를 수행하는데 조금의 에러 사항이 있긴 합니다.

실제로 저도 참가를 해서 수상을 했었는데, 핵심 특허를 정할 때 기술 인용도가 높고 청구항이 가장 적은(청구항이 적으면 포괄적입니다.) 기술을 정할 지, 최근 기술 발전을 따라 기술 인용도가 적더라도 가장 상용화에 근접하고 실용적인 특허를 고를 지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변리사께서도 고민이 많았었구요. 결국 그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면 참가하시는 분이 직접 정하시는게 좋습니다.

 

이러한 문제와 여러 부족한 부분이 있었지만 여러 팀들의 자료도 보고 많이 배울 수 있었던 대회였습니다.

'다시 한번 도전하면 대상도 꿈은 아니다!' 했는데 다시 도전할 기회는 없었습니다. ㅎㅎ 그런 아쉬움 때문에도 이번 포스팅을 시작한 것 같네요.

 

먼저 CPU의 첫 관문은 바로 '주제 선정' 입니다.

https://www.kipa.org/cpu/resource/pdf/2020캠퍼스특허유니버시아드(전략부문최종).pdf

이 링크로 들어가시면 주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대회에는 '발명 사업화'부분이 아예 새로 생겼고, 특허 전략 쪽으론 빅데이터 부분이 새롭게 생긴 것 같습니다. 2019년도 꺼엔 관심이 없어서 잘 모르겠네요. 2018년도에 참여를 했어서.....ㅎㅎ

여하튼 주제 선정은 -> 키워드 분석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정말 중요합니다.

 

저는 전지 전자쪽 'OLED 관련 편광판'이라는 주제를 선정 했었는데, Flexible OLED 혹은 curved OLED용 특허가 증가하는 것을 보고 이데 맞춘 특허를 준비 했었습니다. 이처럼 기업 입장에서 돈이 될만한 특허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허 전략이라는 것은, 특허로 생길 분쟁을 피하거나,먼저 특허를 선점하여 그 기술을 보호하고 수익을 창줄하기 위한 전략을 새우는 것을 의미합니다. 때문에 '돈이 된다.'는 것은 그만큼 그 특허 때문에 생길 분쟁도 많다는 것이고, 그렇기에 전략이 필요하게 되니까요.

 

 

일단 큰 틀은 '전기 전자', '화학 생명 에너지', '조선 금속 기계 환경',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 이렇게 있습니다.

여기서 기계나 컴퓨터, it 계열은 결정을 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전기 전자'와 '화학 생명 에너지'는 겹치는 부분이 굉장히 많습니다.

'전기 전자'분야가 화학 기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때가 많기 때문인데요. 이 둘은 물리, 화학, 전자, 전기, 신소재 등 화학에 대한 이해가 어느 정도 가능한 분들이 도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세부 주제를 보니 '전기 전자' 분야에도 인공지능이나 전력시스템 보안 등이 들어가 있는 것을 보아 it 관련 학생분들도 지원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세부적인 주제에 대한 이야기를 더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지원 자격 및 방법' 입니다.

 

참가자격 국내 대학(원)생으로 개인 또는 3인 이내 팀*으로 참가, 지도교수 1인(복수팀 지도 가능) 필요

 

 

 

※ 다양한 전공 학생들 간에 팀 구성을 권장

※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대학(원)생에 한하며 경쟁 부문 복수신청 가능

 

지원은 아래 링크로 들어가서 지원해주시면 됩니다. 지원은 6월 15일 18시 까지입니다.

 

****지원시 유의사항이 있습니다. '지도교수'님이 필요합니다. 꼭 지도교수 한분에게 사인을 받아야 합니다.

관련 기술에 능통하신 교수님을 미리 찾아서 사인을 받아주셔야 지원이 가능합니다.

https://www.kipa.org/cpu/main.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