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일기
- 연상의 원리
- 공모전
- 감정전이
- 시
- 교육
- 임계거리
- 돈
- 독서
- 에세이
- 이공계열 대학원
- 글
- 정서적 효과
- 심리
- 책
- 심리학 기초
- 육아
- 대학원 연구실
- 경제
- 이공계열 스펙
- 특허 대회
- 글쓰기
- 대학생 에세이 공모전
- 이공계열 연구
- 실수효과
- 심리학
- 작문
- 연구실 정하기
- 2020년 공모전
- 캠퍼스 특허 유니버시아드
- Today
- Total
목록교육 (2)
story in mind

'어쩌다 어른'-오찬호님께서 '차별'을 주제로 강연한 내용을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18-06-13 체벌에 있어서 보통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고 한다. 체벌의 현장에서 가장 자주 들을 수 있는 대사가 ‘너 맞을 짓 했지?’이다. 즉 피해자에게 원인이 있다고 규정한다. 왕따의 핵심은 집단이 소수에게 폭력을 가한다. 우리가 만약 ‘너도 크면 가해자가 될 수 있다.’라는 교육을 시켰으면 어떨까. 그러나 그런 교육은 사실상 없다. 모 교육기관에서 왕따 예방 교육을 하는데, ‘친구가 헌담을 하면 그것에 익숙해지세요.’라고 했다. 육아서 같은 것을 봐도 ‘왕따 당하지 않는 법.’을 배운다. 육아서에서 왕따하지 않는 법을 배우진 않는다. 그렇담, ‘사회성이 좋다.’는 것은 무엇일까. 갈등을 잘 해결하는 것? 허허 만..

4단계 ‘창의’ 창의력은 대상을 연결시키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비유법과 은유법이 창의에 대표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비유와 은유법을 어려서부터 많이 접하게 되면 창의력을 기르는데 용이하다고 합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창의력의 4단계에 대해서 설명을 할게요. 1단계 창의 ‘태양이 밝다+전구가 밝다=전구가 태양처럼 밝다.’를 떠올리는 것은 1단계입니다. 2단계 창의 ‘나비가 예쁘다+꽃이 예쁘다=나비가 꽃처럼 예쁘다.’는 2단계 창의입니다. 1단계와 2단계의 차이를 알 것 같나요? 태양과 전구는 둘 다 동그란 구 모양입니다. 둘 다 빛을 내기도 하고 둥글기도 한 것이 비슷하게 생겼죠. 이처럼 생긴 것 이 비슷한 것들을 연결시켜서 생각하는 것이 1단계인 ‘모양의 창의’입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