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y in mind

? 본문

글 story

?

storyming 2020. 3. 16. 21:47

  문제지를 펼치면 2점에서 4점까지의 질문들이 있었다.

When I opened the questionnaire, there were 2 to 4 questions.

4점 짜리 질문에 답을 맞추면 4점을 얻을 수 있고, 2점 짜리를 맞추면 2점을 얻을 수 있었다.

If i answer the four-point question, i get four points, and if i answer the two-point question, i get two points.

시간이 지나 학교를 졸업하고 나니 질문들이 시험지를 벗어나기 시작했고,

After a while, the questions began to escape the test

글이 아닌 말이 되어 오기 시작했다.

It began to come out as a non-text.

질문은 성장배경이나 목표처럼 개인적인 것을 묻거나 답이 없는 물음을 던지기도 했다.

The questions asked personal questions, such as growth background or goals, or asked questions where the answers did not exist.

사회에서 받은 질문엔 2가지 특징이 있었는데 그 첫 번째는 내가 받는 질문이 몇점짜리 질문인지 잘 모르겠다는 것이었고, 두 번째는 모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건 아니라는 것이었다.

There were two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 asked by society, The first was that I wasn't sure how valuable the question I was getting was,

The second is that not everyone is asked.

 

누군가는 높은 점수를 얻는 질문을 받고 누군가는 아무런 질문도 받지 못 하기도 했다.

Some people were asked to score high scores, and others were never asked.

질문에 답을 하는 것만큼 좋은 질문을 받는 것도 녹록지 않았고 한번쯤은 꼭 받아야할 물음들,

It wasn't easy to get a question as good as answering a question, and at one point,

답을 해야만 하는 물음들이 중요한 때를 놓치곤 느지막이 다가올 때도 많았다.

Many questions that had to be answered missed an important time and often came late.

 

  영어공부를 하고 스펙을 쌓고 취업을 해야하는 것처럼 삶의 방향이 쓸 때 없이 명확해지며 그렇게 살다 가겠지.’라는 생각에 관성처럼 이끌려 따라가게 된다.

As i have to study English, improve my skills, and find a job, my direction of life becomes overly clear, and i will be drawn and followed by the idea of ​​'I'm going to live like this and die'.

바깥을 궁금해하던 호기심도 이젠 이불밖은 위험하다며 나올 생각을 안 한다.

The curiosity that was abundant as a child no longer exists to me.

역사 책을 볼 때면 노예들은 왜 더 나은 삶을 살려고 하지 않았을까?’ 궁금해하곤 했는데,

I was curious when I read history books. 'Why didn't the slaves try to live a better life?'

이제는 그들이 왜 그렇게 살았는지 알 것 같다.

Now I think I know why they lived like that.

문득 정신이 들 때마다 방안에 앉아 안주하고 있는 모습을 발견하게 되기 때문이다.

Because I often see myself trying to be comfortable.

지금의 나는 누군가가 끌어내주지 않으면 그냥 안주해버릴 것이다.

Now I won't be able to do anything without someone's help.

 

옛 노예들도 비슷했을 것 같다.

I and their slaves seem to be similar now.

적응이라는 천부적인 재능을 마음껏 사용하며 그냥 그대로 살아갔을 것이다.

they would have lived on average using the talent of 'adaptation'.

몇몇 적응이라는 재능이 없던 사회 부적응자만이 굳이 왜 노예로 살아야하는가?’라는 물음을 가졌을 것이고,

Only a few socially inadequate people who did not have the talent of 'adaptation' would have asked, 'Why should I live as a slave?'

잘 적응하던 유능한 노예에게 우리가 왜 노예로 살아야 하는가?’라고 물으며 동료 노예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곤 했을 것이다.

They would have shaken the life of their fellow slaves asking, “Why should we live as slaves?”

부적응자의 물음처럼 무언가를 흔드는 이런 물음들이 있다.

There is a question that leads to new thinking about something.

 

우리는 질문을 받으면 마치 본능에 이끌리듯 그 질문에 인도되어진다.

When we receive a question, we are led to that question as if we are drawn to instinct.

기계에 스위치를 켠 듯 그 물음이 무엇이든 답을 찾아 발을 내딛기 시작한다.

As if the machine had been operated, the person began to go for the answer, whatever the question.

누가 우릴 광복시키겠는가?, 우린 어느 나라의 국민인가?’

'Which country are we from?'

부자가 되면 행복하게 살 자신있는가?

’'Are you confident that you will live happily when you become rich?'

남자의 역할과 여자의 역할이 정해져있는가?’

'Are there roles for men and women?'

우리나라를 지켰던 물음, 삶에 대해 생각하게 했던 물음,

The questions that kept our country, the questions that made us think about life,

상식인척하던 오래된 편견을 들췄던 물음.

A question that reveals an old bias pretending to be common sense.

어떤 물음이던 물음을 받은 사람은 누구나 새로운 곳으로 출발하게 된다.

Whatever question is asked, whoever is asked will go to a new place.

이런 물음에 분명한 오답을 듣기라도 하면 더욱 멀리 그리고 확고히 다른 곳으로 가게 된다.

If we hear a clear wrong answer, we will go further and firmly to another place.

이는 물음이 본질을 들어나게 하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question reveals the essence.

이제 조선은 없어.’

'There is no Joseon anymore.'

돈이 있으면 다들 널 좋아할 거야.’

'If you have money, everyone will love you.'

에이~, 너가 요리도하고 설거지도 할거냐

The question that reveals the appearance of oneself or acquaintances that we have tried to ignore

우리가 애써 무시하던 자신의 모습 혹은 지인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들어내버린 물음은,

The question that reveals the appearance of oneself or acquaintances that we have tried to ignore,

그 적나라함을 발판삼아 우릴 더욱 먼 곳으로 가게 한다.

It moves us further.

 

  강한 힘을 가진 물음들이 있다.

There are questions with strong power.

 

그런 물음을 찾을 때면 맛있는 사탕을 발견한 아이처럼 호주머니 깊숙이 넣어두었다.

그렇게 모아놓은 비밀스런 물음들을 글로 옮겨적기 시작했다.

비밀스런 메모들로 만들어놓은 이 글 속의 세상은 온갖 물음표들로 가득하다.

많은 소설이 의아한 질문에서 시작하듯 어떤 물음은 우릴 생각지 못한 곳으로 이끌기도 하고,

착각을 하게 하기도 하며 우울함이나 행복감을 느끼게도 할 것이다.

물음이 우리를 어느 곳으로 데려가줄진 몰라도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지금 앉아있는 그곳에서 끌어내질 것이란 것이다.

 

 

'글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화문글판 대학생 에세이 공모전  (0) 2020.04.11
오찬호(사회학자)의 '차별'  (0) 2020.04.03
창의성의 4단계  (0) 2020.03.31
메모  (0) 2020.03.26
전혀 다른 시야  (0) 2020.03.17